한부모가족 여부와 아동 발달의 관계
최종 학력 수준, 건강, 대인관계, 결혼 여부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기도 하지만, 이는 연구에 따라 일관된 관계에 놓인 것은 아니다. 이때 한부모가족 여부와 아동 발달의 관계는 가족 유형 선택의 내생성을 통 제하기 위해 다양한 통제변수를 활용한 최소자승법부터 형제 간의 고정 효과 모형, 종단면적 자료 특성을 이용한 개인별 고정효과 및 일차차분 (first differences) 모형, 도구변수 모형, 성향점수매칭법과 이중차분법, 준 실험적 방법론 등으로 추정되었다 (Hȁrkȍnen et al., 2017, pp.165~175; Francesconi et al., 2010, p.1204)1. 그런데 최근 연구에서는 통제변수를 다 양하게 통제하면서 가족 유형의 이행이 무작위로 결정되었다고 가정하는 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