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09)
한국경제는 주력 제조업 현재 한국경제는 주력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 미래형 신산업과 서비스 분야 개척 부진이라는 어려움을 겪으며 향후 잠재성장률 하락이 예상되 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2년 이후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3%대로 내려앉은 상황이다.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1990년 9.81%, 2002년 7.43%로 고도성장을 하였으나, 2018년에는 2.67% 에 그쳤다. 부문별 실질 성장률을 살펴보면, 서비스업의 경우 실질 GDP 성장률과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제조업 성장률은 1990년 11.56%, 2002년 9.28%로 한국의 실질 GDP 증가율을 능가하였으나, 2018 년에는 3.58%에 그쳤다 [그림 1-1]은 1985년 이후 한국 GDP에서 농업, 제조업, 서비..
한국경제에서 식품제조업의 중요성 한국경제에서 식품제조업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식 품제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주요 성장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4장에 서는 식품제조업의 혁신성을 식품제조업체를 중심으로 하는 수출경쟁력 의 관점, 소규모 식품제조업체를 중심으로 하는 대형유통업체와의 협력 의 관점, 그리고 할당관세를 중심으로 하는 대외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하 였다. 그리고 각 관점별로 식품제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국내시장 대책 과 국외시장 대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시장의 경우 선진국에서 투자가 급증하고 있는 푸드테크 산업의 활성화 전략이 필요 하며, 대체식품 및 소재 산업에 선택과 집중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불공정거래 관행의 해소를 통해 식품가공업체와 대형유통업체 간의 협력 관계를 모색함으로써 국..
한국경제에 있어 혁신성장 한국경제에 있어 혁신성장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그간 ‘수출 증 진과 국내산업 보호’를 주된 목적으로 한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을 전면적 으로 검토하여, 향후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을 한국경제의 혁신성장을 견 인하는 경쟁 친화적인 대외경제정책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서는 대외경제정책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제조업, 농업, 식품제조업 에 대한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향후 필요한 정책을 제시하였 다. 제조업 분야의 대외경제정책에서 주된 정책수단인 관세 등 수입장벽 은 ‘규모의 경제’와 ‘시장경쟁 강화’라는 양 측면에서 국내 시장경쟁 환 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한국경제의 혁신환경에 영향을 미 친다. 무역자유화로 인한 수출기회 확대는 생산성 높은 수출기업에 유리 한 환경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