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09)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저성장의 문제를 극복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저성장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슘페터가 강조한 혁신이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슘페터는 경제성장의 근원을 혁신에 두고, 혁신을 기존 제도와 질서를 파괴하면서 새로운 것 을 창조해 나가는 ‘창조적 파괴’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대외경제정책은 한 나라의 시장경쟁 상황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혁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그간 ‘수출 증진 과 국내산업 보호’를 주된 목적으로 한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을 제조업과 농업, 그리고 향후 한국의 먹거리로 기대되는 식품제조업 분야를 대상으 로 혁신의 관점에서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향후 필요한 정 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무역자유화로 인한 수출기회의 확대는 생산성 높은..
최소소득보장제도의 유형 서구 선진국 중 다수 국가가 보편적 최소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고 있으 나, 범주적 제도에만 의존하는 국가도 아직 소수 존재한다. 프랑스와 스페 인, 포르투갈이 특정 인구그룹별 제도에 그치다가 1980년대 후반 이후 일 반적 인구그룹 대상의 제도를 도입했으며, 미국,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 이탈리아, 그리스는 OECD와 EU 국가 중 아직 범주적 프로그램만 운영하 는 예로 발전 정도가 낮은 국가로 인식된다. 반면, 공공부조의 제도화 정도 가 높고 오랜 기간 정착되어 온 국가 중 영국, 독일, 덴마크, 스웨덴 등은 공공부조 개혁을 통해 근로활성화(activation)⋅적극적 노동시장정책(active labor market policy) 기능 등을 공공부조에 내장하여 보다 상위의 종합적 목표를 추구하는 적극..
공공부조 각국의 공공부조를 비교 고찰할 경우 1인당/가구당 급여수준을 직접 비교하는 방식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식으로는 어느 정도 비 율의 사람이 얼마나 지원을 받는지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예를 들 어, 영국은 공공부조제도의 혜택이 전체 인구의 26% 이상에게 제공되는 반 면, 일본은 1% 정도의 인구를 포괄하기 때문에 1인당 급여수준만의 비교는 매우 제한적인 측면에 국한된다. 직접적인 급여수준 비교를 통해 제도의 관대성이나 제도의 확대 여부에 대해 직접적인 함의를 도출하려 시도할 때 나타나는 더 큰 문제점은 각 사 회에 따라 공공부조가 담당하는 역할과 그 범위가 다르다는 점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사회 내에서 공공부조가 담당하는 역할은 노동시장 상황 과 가족구조 변화 등 사회의 가장 근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