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사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성취 수준이 향상된다고?!

제2절에서 소개한 Baker et al.(2001), 김진영(2007), 남기곤(2008)은 우리나라가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과 달리 사교육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뚜 렷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는 특징이 있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보고하 고 있다. 이러한 통계적 경향은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사교육을 더 많이 받는다고 해석될 수도 있으나, 사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성취 수 준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두 가지 가 능성 중 어느 것이 더 타당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교육 투자가 학 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사교육 투자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대표적 연구로는 Ryu and Kang(2013)을 꼽을 수 있다. 이 연구는 2005년 전국의 중학교 1 학년 학생 6,908명을 표본 추출하여 연도별로 조사한 한국교육종단연구 의 1~3차 연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교육 지출액이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사교육 지출액의 내생성 endogeneity)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석방법을 동원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첫째, Ryu and Kang(2013)은 출생순서가 빠를수록(예를 들어, 첫째 자녀일수록) 사교육비 지출액이 높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출생순서를 사교육 지출액 의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사교육 지출액 이 평균으로부터 10% 높아질 때 학업성취도는 약 1.1% 증가한다는 사실 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결과는 사교육의 실제 효과를 과대 추정할 개 연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출생순서가 빠른 자녀일수록 부모로부터 더 많 은 관심을 받고(Black et al., 2005), 인지 능력도 높다고(Black et al., 2011)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Ryu  and  Kang(2013)은 학생의 고정적인 특성(예를 들어, 타고난 인지적 능력 등)을 통제하는 고 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사교육의 효과를 추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교육 지출액이 평균으로부터 10% 높아질 때 학업성 취도는 약 0.0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방법은 각 학생을 시간 에 따라 추적하며 사교육 지출액이 증가할 때 학업성취도가 얼마나 증가 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학부모가 자녀 의 학업성적이 하락할 때 사교육 투자를 늘리는 경향이 있다면 이 결과 는 사교육의 실제 효과를 과소 추정할 개연성이 있다. 결국 Ryu  and Kang(2013)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교육 지출액이 평균에서 10% 증가할 때 학업성취도가 증가하는 비율은 대략 0.08%와 1.1%의 사이일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6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교육 투자의 결정요인  (0) 2021.08.27
사교육 투자의 효과  (0) 2021.08.26
학생들의 사교육 시간을 비교  (0) 2021.08.24
사교육 투자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정리  (0) 2021.08.23
수업 변화의 필요성  (0) 202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