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 구성: 거래용 및 가치저장용
북한에 유입된 외화는 거래용(또는 통화대체용)과 가치저장용(또는 자산대체
용)으로 사용될 것이다. 거래용 외화는 일상적인 생필품 및 서비스 거래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가치저장용 외화는 일종의 금융자산으로서 재산을 축적하려
는 것과 같은 목적으로 보유된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의 경우 금융기관이 제 기능
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민들이나 기업은 외화를 은행에 예금하지 않
고 현금으로 보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외화의 용도를 구분하는
것은 그 용도에 따라 물가 및 환율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
문이다. 거래용은 M1(협의통화)의 개념에 가까운 것이고 가치저장용은 M2(광의
통화)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거래용 외화가 물가에 미치
는 영향이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모형의 단순화를 위하여 거
래용 외화만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달러화(현금)
통화량은 거래용과 가치저장용으로 구분하여 식 (3)과 같이 표시 할 수 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 보급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0) | 2021.01.27 |
---|---|
합영기업 로력, 분쟁해결 (0) | 2020.12.10 |
공급기능 위축 (0) | 2020.11.27 |
북한의 자녀교양 (0) | 2020.11.20 |
코로나19 팬데믹의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영향 및 시사점 검토배경 (0) | 202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