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의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영향 및 시사점 검토배경
코로나19가 중국, EU, 미국, 일본 등 주요
국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수요 부진과 함께
생산 및 물류시설 가동 중단, 수출입 제한 조
치 등으로 국제무역이 급격히 위축되었다. 주
요 관련 연구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무역 대붕괴(great trade
collapse)보다 국제무역을 더 크게 위축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WTO 2020, World
Bank 2020b 등).
코로나19 충격이 국제무역 및 전세계 경제
를 급격히 위축시키는 과정에서 글로벌 가치사
슬(Global Value Chain, GVC)이 충격을 증
폭·확산시키는 기제로 작용하였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GVC로 인해 국가
간 및 산업간 상호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중
국, EU, 미국, 일본 등 GVC의 주요 거점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심화됨에 따라
그 충격이 GVC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전세
계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또한 신흥국 중심의
과거 전염병 확산 사례와 달리 GVC의 주요 거
점국을 중심으로 전염이 발생하면서 그 충격이
GVC를 통해 비감염국가에도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과거 여타 사례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GVC가 코로나19 충격을 증폭
및 확산시키는 기제로서 작용함에 따라 GVC
의 위기취약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구체적
으로 주요국 정부와 기업들은 GVC에 따른 위
험 노출을 축소하기 위해 생산지 분산 및 공
급망 다변화, 기업의 본국 회귀(리쇼어링,
reshoring), 생산공정 자동화 및 디지털화 등
을 통해 공급망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려는 움
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GVC의 취약성에
대응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축소 정책이 시
행될 경우 향후 GVC에도 상당한 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본고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진행되어
온 GVC의 구조적 변화를 먼저 살펴보고 코로
나19 충격이 국제무역으로 파급되는 과정에서
GVC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평가한
후 향후 GVC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바
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급기능 위축 (0) | 2020.11.27 |
---|---|
북한의 자녀교양 (0) | 2020.11.20 |
출연금(出捐金),출자금(出資金) (0) | 2020.11.10 |
지방의회경비(地方議會經費) (0) | 2020.11.09 |
의중임금 (0) |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