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인구구조의 고령화

1990년대 초 이후 일본 장기침체의 원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지목되고 있으나, 인구구조 고령화가 하나의 큰 축이라는 점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리의 경우에도 2000년대

이후 성장률 하락의 배경에 고령화가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은 누

차 지적되어 온 바이다. 실제 최근 우리 경제는 1990년대 초 일

본경제와 인구구조의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인구증가율 및 노인부양비율 등 인구구조와 관련된 모든

지표는 20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일본을 쫓아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총인구 증가율은 1990년대에 0.5% 이하로 하락한

 

이후 2010년경부터는 절대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우리의 경우에도 대략 20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2010년경부터

총인구 증가율이 0.5% 이하로 하락하고, 2030~40년경에는

절대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노인부양비율

(= 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도 일본의 경우 1990년 17%

내외에서 2010년에 35% 수준으로 급등하였으며, 우리도 2010년

15% 내외에서 2030년에는 38% 수준으로 급등할 전망이다. 이와 같

은 급격한 인구구조 고령화는 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우선 총량적으로 인구증가율 둔화 혹은 절대인구 감소는

 

 

우리 경제의 노동력이라는 자원의 부족을 의미하게 되며, 이는

국 잠재성장 률의 하락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인구구조

고령화는 총량적 차원의 인구증가율 둔화 외에도 연령별 인구 구

성을 급격히 변화시킴으로써 투자, 소비, 경상수지, 이자율 및

부동산가격 등 주요 거시경제 변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우선 청년층 비중 감소는 보다 창의적이

고 투자지향적인 인구의 감소를 의미하여 투자율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저축성향이 높은 장년

층 인구비중의 증가는 소득 대비 소비보다는 저축의 비중을 증가시키

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인구구조 고령화는 저축에 비해 투자를

보다 빠르게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경제 전반의 ‘균형

이자율’을 하락시키는 한편 잉여 저축이 해외로 수출되는 경상수

이 모든 현상이 20여 년 전 일본경제에서 목격되었을 뿐 아니라 현
재 우리 경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아마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 외에도 인구구조 고령화는 우리 경제의 구석구석을 크게 변화시키는 
강력한 동인으로 작용할 것임에 틀림없다.

 

 

 

 

 

 

 

 

 

 

 

 

 

 

 

 

 

 

 

 

 

 

 

 

 

 

 

 

 

 

 

 

 

 

 

 

 

 

 

 

 

 

 

 

 

 

 

 

 

 

 

 

 

 

 

 

 

 

 

 

 

 

 

 

 

 

 

 

 

 

 

 

 

 

 

 

 

 

 

 

 

 

 

 

 

 

 

 

 

 

 

 

 

 

 

 

 

 

 

 

 

 

 

 

 

 

 

 

 

 

 

 

 

 

 

 

 

 

 

 

 

 

 

 

 

 

 

 

 

 

 

 

 

 

 

 

 

 

 

 

 

 

 

 

 

 

 

 

 

 

 

 

 

 

 

 

 

 

 

 

 

 

 

 

 

 

 

 

 

 

 

 

 

 

 

 

 

 

 

 

 

 

 

 

 

 

 

 

 

 

 

 

 

 

 

 

 

 

 

 

 

 

 

 

 

 

 

 

 

 

 

 

 

 

 

 

 

 

 

 

 

 

 

 

 

 

 

 

 

 

 

 

 

 

 

 

 

 

 

 

 

 

 

 

 

 

 

 

 

 

 

 

 

 

 

 

 

 

 

 

 

 

 

 

 

 

 

 

 

 

 

 

 

 

 

 

 

 

 

 

 

 

 

 

 

 

 

 

 

 

 

 

 

 

 

 

 

 

 

 

 

 

 

 

 

 

 

 

 

 

 

 

 

 

 

 

 

 

 

 

 

 

 

 

 

 

 

 

 

 

 

 

 

 

 

 

 

 

 

 

 

 

 

 

 

 

 

 

 

 

 

 

 

 

 

 

 

 

 

 

 

 

 

 

 

 

 

 

 

 

 

 

 

 

 

 

 

 

 

 

 

 

 

 

 

 

 

 

 

 

 

 

 

 

 

 

 

 

 

 

 

 

 

 

 

 

 

 

 

 

 

 

 

 

 

 

 

 

 

 

 

 

 

 

 

 

 

 

 

 

 

 

 

 

 

 

 

 

 

 

 

 

 

 

 

 

 

 

 

 

 

 

 

 

 

 

 

 

 

 

 

 

 

 

 

 

 

 

 

 

 

 

 

 

 

 

 

 

 

 

 

 

 

 

 

 

 

 

 

 

 

 

 

 

 

 

 

 

 

 

 

 

 

 

 

 

 

 

 

 

 

 

 

 

 

 

 

 

 

 

 

 

 

 

 

 

 

 

 

 

 

 

 

 

 

 

 

 

 

 

 

 

 

 

 

 

 

 

 

 

 

 

 

 

 

 

 

 

 

 

 

 

 

 

 

 

 

 

 

 

 

 

 

 

 

 

 

 

 

 

 

 

 

 

 

 

 

 

 

 

 

 

 

 

 

 

 

 

 

 

 

 

 

 

 

 

 

 

 

 

 

 

 

 

 

 

 

 

 

 

 

 

 

 

 

 

 

 

 

 

 

 

 

 

 

 

 

 

 

 

 

 

 

 

 

 

 

 

 

 

 

 

 

 

 

 

 

 

 

 

 

 

 

 

 

 

 

 

지 흑자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인구구조 고령화가 노동집약적 산업의 경쟁력 상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지난 20여 년간 일본의 산업구조를 상당 부분 벤치마킹해왔던 우리 제조업 혹은 수출 주력 산업이 중국 등 여타 개도국으로 점차 이전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인구구조 고령화는 주택을 처분하려는 유인이 강한 노년층에 비해 주택을 구입하고자 하는 청년층의 비중이 하락함을 의미하므로, 주택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개연성도 크다이 모든 현상이 20여 년 전 일본경제에서 목격되었을 뿐 아니라 현재 우리 경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아마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 외에도 인구구조 고령화는 우리 경제의 구석구석을 크게 변화시키는 강력한 동인으로 작용할 것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