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경제,금융

한계비용

한계비용

 



한계비용은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한 다. 즉 비용증가분을 생산증가분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면, 생수 100병을 생산하는데 10,000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면 생수 1병의 평균생산비용은 100원이다. 추가로 생수 

한 병을 더 생산하여 101병, 102병을 생산할 때 비용이 각각

 10,080원, 10,150원이라면 생수 101병째의 한계비용은 10,080원 -

 10,000원 = 80원, 102병째의 한계비용은 70원이 된다. 생산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가도(10,080원→ 10,150원) 

중요하지만 생산을 늘림에 따라 증가하는 추가적 비용이 어떻게 변

하는가를 (80원→70원)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생산의 목

적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면 반드시 한계비용의 움직임을 살펴

보아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수학적으로 어떤 함수값(총비

용)의 최소는 변수(생산규모)의 미분값이 0이 되는 곳에서 결정되는데, 

한계의 개념은 바로 미분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상기하면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이 증가하면서 한계비용은 점차 줄어들다가 어

느 생산규모에 이르면 다시 늘어나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