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의 연구는 모두 외국의 경제적, 제도적, 문화적 배경하에서 가족 유형과 아동 발달의 관계를 논한 것이다. 여성 취업의 안정성, 양질의 대 리양육자에 대한 접근성, 가족 유형에 대한 선호도, 가족 유형에 따른 복 지 제도 등 우리나라 고유의 여건에서 가족 유형과 아동 발달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논할 필요가 있다.
다음 장에서는 가용 한 우리나라 자료를 소개하고, 선행연구와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방법론 한부모가족 여부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 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대상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 1~7차년도 자료를 사 용하였다. 이 자료는 2010년에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시작해 2016년에 대상 아동이 고1에 이르기까지 7차에 걸쳐 매년 조사가 진행된 자료이다. 동 패널에는 아동의 가족 유형, 신체적⋅사회정서적 발 달 수준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한국아동⋅ 청소년데이터 아카이브(https://www.nypi.re.kr/archive, 접속일: 2020. 5. 15)). 한부모가족 여부는 아동과 함께 사는 부모 구성에 관한 설문을 통해 추 론하였다. 설문상에서 부모가 별거, 이혼, 사별 등으로 인해 동거하지 않 으면 함께 사는 가족이 아니며, 다른 지역에 근무하거나 건강의 이유로 요양이나 입원을 하는 중이라면 함께 사는 가족으로 간주된다. 가족 유 형은 친아버지와 친어머니가 함께 거주 중이라면 양부모가족으로 두고, 다음 연도 조사에 1) 친아버지만, 2) 친어머니만, 혹은 3) 부모님 모두 안 계신 상태로 변하였다면, 다음 기는 양부모가족에서 한부모가족으로 이 행한 것으로 감안하였다. 가족 유형이 변한 것으로 분류된 위의 세 경우 는 구분이 가능했지만, 분석대상으로 하기에는 자료 크기가 작았다.
'경영,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조정에 정책의 우선순위 (0) | 2022.01.24 |
---|---|
성향점수 매칭 (0) | 2022.01.21 |
도구변수 방법론 (0) | 2022.01.19 |
한부모가족 여부와 아동 발달의 관계 (0) | 2022.01.18 |
친아버지와 친어머니일 경우는 양부모로, 친아버지만 혹은 친어 머니만 혹은 부모님 모두 안 계시는 경우를 한부모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