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경제,금융

외국의 경제적, 제도적, 문화적 배경하에서 가족 유형과 아동 발달의 관계

이상의 연구는 모두 외국의 경제적, 제도적, 문화적 배경하에서 가족 유형과 아동 발달의 관계를 논한 것이다. 여성 취업의 안정성, 양질의 대 리양육자에 대한 접근성, 가족 유형에 대한 선호도, 가족 유형에 따른 복 지 제도 등 우리나라 고유의 여건에서 가족 유형과 아동 발달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논할 필요가 있다.

 

다음 장에서는 가용 한 우리나라 자료를 소개하고, 선행연구와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방법론 한부모가족 여부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 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대상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 1~7차년도 자료를 사 용하였다. 이 자료는 2010년에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시작해 2016년에 대상 아동이 고1에 이르기까지 7차에 걸쳐 매년 조사가 진행된 자료이다. 동 패널에는 아동의 가족 유형, 신체적⋅사회정서적 발 달 수준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한국아동⋅ 청소년데이터 아카이브(https://www.nypi.re.kr/archive, 접속일: 2020. 5. 15)). 한부모가족 여부는 아동과 함께 사는 부모 구성에 관한 설문을 통해 추 론하였다. 설문상에서 부모가 별거, 이혼, 사별 등으로 인해 동거하지 않 으면 함께 사는 가족이 아니며, 다른 지역에 근무하거나 건강의 이유로 요양이나 입원을 하는 중이라면 함께 사는 가족으로 간주된다. 가족 유 형은 친아버지와 친어머니가 함께 거주 중이라면 양부모가족으로 두고, 다음 연도 조사에 1) 친아버지만, 2) 친어머니만, 혹은 3) 부모님 모두 안 계신 상태로 변하였다면, 다음 기는 양부모가족에서 한부모가족으로 이 행한 것으로 감안하였다. 가족 유형이 변한 것으로 분류된 위의 세 경우 는 구분이 가능했지만, 분석대상으로 하기에는 자료 크기가 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