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플레이션 동학(Inflation dynamics)의 특징
가. 목표 범위내 안정
1998년 물가안정목표제가 시행된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공급충격의 영향을 받은
2008년을 제외6)하면 목표 상한을 이탈한 적이 거의 없는 안정된 움직임을 나타냈다.
이와 함께 경제주체의 기대인플레이션도 2003년 이후 대체로 안정세를 지속하였다.
한국은행과 Consensus社가 각각 조사한 특정 월에서의 향후 12개월간 기대인플레이션7)
은 2003년 이후 대체로 물가안정목표 범위 내에서 등락하였으며 2004년 이후에는 물가
안정목표의 중심치로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8)
이와 같은 안정된 물가 움직임은 세계화의 진전 및 국제원자재가격의 안정과 함께 물
가안정목표제 시행에도 상당 부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은행이 물가안정
목표치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통화정책을 수행함에 따라 경제주체
들이 직면하는 장래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확실성이 축소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나. 변동성 축소
물가안정목표제 시행 후 인플레이션의 변동성 및 지속성이 대체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
났다. 소비자물가 및 생산자물가 상승률의 표준편차가 환율이 급등했던 외환위기의 영향
으로 시행 초 3년에 걸쳐 높아지기는 하였지만 이후에는 대체로 하락 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가안정목표제 시행 이후 기대인플레이션의 변동성도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
났다. 기대인플레이션 변동성은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초기인 2000~2004년보다 물가
안정목표제가 어느 정도 정착된 2004년~2007년에 상당 폭 축소되었다.
아울러 인플레이션의 지속성(inflation persistence)도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이후 낮
아졌다
다. 필립스곡선 평탄화
물가안정목표제 도입은 통화정책의 적극적인 수행을 통해 수요압력의 물가 영향력을
약화시켜 필립스곡선 기울기의 평탄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경영,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의 물결 (0) | 2021.02.08 |
---|---|
블룸필드 미션의 성립 (0) | 2021.02.05 |
주요국 1,2위 도시의 경제지표 비교 (0) | 2021.02.02 |
금융시장 불확실성의 효과: 금융시장 위기 기간 중 국면전환이 발생하였는가?실증분석 결과 (0) | 2021.02.01 |
중앙예탁기관 및 가치교환형 결제시스템 (0)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