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이후 다양한 유형의 지역혁신사업이 추진되었다. 지역혁신정책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 지역산업 육성, 둘째 산학협력 및 대학혁신역량 강화, 셋째 클러스터 형성 촉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지방에 기업도시 건설이 추진되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국정토론회에서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육성의 필요 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서 과학기술부는 ‘미래유망분야’의 개념을 만 들게 되고, 이 개념을 세우기 위해서 산⋅학⋅연 전문가 중심의 기획단이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부는 미래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작업을 하였고,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는 미래 성장산업에 중점을 두고 제품 중심의 기획에 착수하였다. 산업자원부는 산업계 중심으로 민간 주도 4 개 분과위원회와 20개 워킹그룹을 만들고, 워킹그룹별로 차세대 성장동 력 발굴작업을 추진하였다. 정보통신부는 통신⋅방송⋅인터넷이 융합된 광대역 통합망을 기반으로 IT산업비전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2003년에 정보과학기술보좌관 주재로 개최된 제1차 차세대성장동력 선정위원회는 10개 미래전략산업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이명박 정부는 민간 중심 성장동력기획단을 2008년 3월에 발족하였고, 기획단은 4개 분과 18개 소위원회에 약 360여 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2008년 6월 기획단 자체분석, 민간 수요조사, 대국민 아이디 어 공모 등을 통해 400여 개 후보군에서 63개를 우선 선정하고, 그 후 과 학기술 기본계획,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그린에너지 발전전략, 지식경제 통합기술 청사진 등 관련 정책과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하여 총 22개 신 성장동력을 선정하였다 그 후 2009년 3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제3회 미래기획위윈회에서는 신성장동력 3대 분야 17개 과제를 확정하였다. 이 는 민간기획단에서 건의한 6대 분야 22개 신성장동력을 반영하고, 교육 ⋅금융 등 산업 분야를 종합 보완하여 결정한 것이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의 미래성장동력 발굴 육성 계획,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엔진 프로젝트 발전계획으로 이원화되어 추 진하여 오던 것이 2015년에는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으로 통합 추진 되었다. 이 계획에서 ‘19대 미래성장동력’ 분야를 새롭게 지정하였다
'경영,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체 사업에 대한 파악 (0) | 2022.03.04 |
---|---|
현재 한국경제가 당면한 산업환경 변화 (0) | 2022.03.03 |
세제혜택을 제공 (0) | 2022.03.01 |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0) | 2022.02.28 |
숙의여론조사(deliberative poll)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