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zzi(2013)는 미국의 특정 슈퍼마켓 체인에 서 유통수단 추가에 따른 평균적인 매출 변화를 분석하고, 그 변화의 차 이를 가져오는 원인으로 각 지점의 환경적인 요소들의 차이를 확인하였 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배달앱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이 가능 한 국내의 음식점 시장 전체를 그 분석대상으로 두고 있다. 또한 배달앱 플랫폼의 도입이 우리나라 음식점 시장 전체의 매출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매출 분위수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이렇게 시장 전체의 매출분포나 특정 상품의 판매순위를 유통수단의 변화와 연결하여 진행한 분석도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일부 찾을 수 있다. 인기 상품과 비인기 상품(Superstars and Long tails)의 매출이 전자상거래 를 통해 받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들이 대표적이다. Brynjolfsson et al. (2003)은 새로운 유통채널의 등장으로 비인기 도서에 대한 소비자의 접 근성이 높아졌고, 도서종류가 다양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여 기서 다양성에 대한 측정방식은 판매도서의 수를 사용하였으며
(The Absolute Long Tail),6 그 결과로 다양성 증가가 소비자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rynjolfsson et al.(2011)은 비인기 도서의 매출 비중을 인기 도서 의 매출 비중과 비교하는 방식(The Relative Long Tail)으로 온라인채널의 등장이 판매의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온라인 채널에 의해 상 품의 다양성과 낮은 검색비용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비인기 상품들의 시 장점유율이 높아진다고 하였다.이 외에 다른 주제의 연구로는 이론연구를 통해 배달앱 시장에서 소비 자와 배달업 종사자 사이의 행동에 관한 연구를 Goolsbee(2001), Xia and Zhang(2010), Hackl et al.(2014) 등 다수의 연구는 전자상거래의 등장이 오프라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는 업체의 경영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실증분석하였다. 그러나 배달앱 시장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이들 중 대부분은 설문조사에 의 한 소비자의 만
족도 조사 등 정성적인 요소들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 추고 있다(김민정⋅이수범, 2017; 성정연, 2020; 황성수 외, 2020). 배달앱 시장에 대한 실증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지만, 배달앱 시장 성장하면서 그 현황을 파악하여 정책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있었 다. 이를 통해 플랫폼과 입점업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방지하 고, 입점업체의 경영환경 개선에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2015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외식업 경영실태 조사 보고서가 있다. 전국 외식업체 사업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 행하고 있으며, 2019년 자료를 기준으로 3,018개의 외식업체가 조사대상 이었다. 상권분류, 업종, 영업시간, 영업일수, 주요 고객 특성 등의 사업 장 정보와 매출액, 영업비용, 객단가, 방문고객 수, 배달앱 매출 비중 등 의 영업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항목 외에도 경영상 어려움 정도, 업종전환 경험과 이유, 업종전환 계획 및 이유 등 외식업체의 경영 개선 을 위한 항목들이 조사되고 있다. 여기에는 배달앱과 관련된 설문 항목 도 있기 때문에 배달앱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외식업 시장의 흐름과 통 계적인 수치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자세히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