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슬로 매뉴얼 제3판(2005)1에 따르면, 혁신(innovation)이란 “새롭거 나 매우 향상된 제품(재화/서비스)이나 프로세스, 새로운 마케팅 기법, 혹 은 사업 관행⋅사업장 조직⋅외부관계에서 새로운 조직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로부터 4개의 혁신 유형이 도출되는데, 상품 혁신, 프로세스 혁신, 조직 혁신, 마케팅 혁신이 그것이다(표 1-1). 여기서 제품 (재화/서비스) 혁신과 프로세스 혁신은 주로 기술적 혁신과 밀접한 관련 이 있고, 오슬로 매뉴얼 제2판에서 제시된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반 면, 마케팅 혁신과 조직 혁신 개념은 제3판에서 혁신의 범위를 비기술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하면서 새롭게 정의된 것이다. 이렇게 확 장된 혁신 개념은 혁신에서 비기술적 요소가 중요한 서비스업의 혁신을 측정하는 데 특히 유용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졌다.한편, 2018년에 개정된 오슬로 매뉴얼 제4판2에서는 프로세스 및 결 과로서의 ‘혁신’의 두 개념을 분리하여, 혁신활동(Innovation activities)과 기업 혁신(business innovation)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혁신활동’은 “기업이 혁신을 위해 의도적으로 수행하는 모든 개발, 재무 및 상업적 활 동을 포함”한다.
이는 그 성과와 무관하게 과정으로의 혁신 개념을 포착 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 ‘기업 혁신’은 결과로서의 혁신을 반영하는 개념 으로, “기업의 이전 제품 또는 업무프로세스와는 획기적으로 다르며, 시 장에 출시되었거나 기업에서 사용 중인 새롭거나 개선된 제품 또는 업무 프로세스(또는 그 둘의 조합)”로 정의하고 있다(표 1-2).
기업 혁신의 변화된 정의에서도 드러나듯이, 혁신 유형에 대한 개념도 변경되었다. 혁신 유형의 개념적 모호성을 줄이고자 기존 4가지 유형(제 품, 프로세스, 조직, 마케팅)을 두 가지 주요 유형, 즉 제품 혁신(product innovation)과 업무프로세스 혁신(business process innovation)으로 통합하 였다. 제품 혁신은 제품 생산 및 제공 관련 혁신을 일컬으며, 업무프로세 스 혁신은 프로세스, 조직, 마케팅 등 그 외의 기업 업무 관련 혁신을 지 칭한다. 즉, 혁신 영역을 상품 및 서비스의 생산 기능과 지원업무 기능의 두 범주로 단순화한 것이다.
'경영,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디맨드 플랫폼에 관련된 분석 (0) | 2021.09.02 |
---|---|
배달앱 플랫폼 (0) | 2021.08.31 |
국민계정에 나타난 기업의 토지 구매 (0) | 2021.08.19 |
우리나라 기업이 약 40년간 토지를 순구매 (0) | 2021.08.18 |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의 대전환,통합형 정부조직 개편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