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딜레마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체제는 독자적인 세계
통화가 아니라 특정 국가의 통화인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여
성립된 체제였다. 따라서, 동 체제에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는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하는 동시에
세계의 상품 및 자본 거래량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을 정도의 유
동성을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국제수지 적
자를 기록하여 달러화 공급량을 증가시키 면 세계적으로 유동
성은 증가하나 달러화에 대한 신인도가 하락한다. 반대로, 미국
이 국제수지 흑자를 내어 달러화 공급량을 감소시키면 달러화의
신용도는 상승하나 세계적 으로 유동성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
한 모순된 상황을 가리켜 미국 예일대의 Triffin 교수는 유동성딜
레마라고 불렀다(동 교수의 이름을 따서 Triffin의 딜레마라고도 한다).
'경영,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중앙은행(ECB) (0) | 2020.10.21 |
---|---|
유동성커버리지비율 (0) | 2020.10.20 |
유동성 함정 (0) | 2020.10.19 |
집단대출 (0) | 2020.10.16 |
지주회사와 직접투자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