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계수란 이탈리아의 통계학자 지니(Gini)가 소득분배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렌 츠곡선의 단점을 보완, 로렌츠곡선이
나타내는 내용을 하나의 단순한 숫자로 표시한 것이 다.
소득분배의 불균형 정도가 클수록 소득의 완전균등분배를
나타내는 대각선과 로렌츠곡 선 사이의 면적이 넓어지는 데 착안,
대각선과 로렌츠 곡선 사이의 면적을 대각선에 의해 생성되는
직각삼각형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계산하여 소득 불평등계수로
사용하였는데, 이를 지니계수라 한다. 소득분배가 완전히
균등할 경우 지니계수는 0이 되며 소득분배 가 완전히 불균등할
경우에는 1이 된다. 그러므로 지니계수는 0에서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지며 그 값이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함을 의미한다.
지니계수는 가장 널리 쓰이는 소득분배 측정방법이지만 전 계층의
소득분배상태를 하나의 숫자로 나타낼 수 있을 뿐이며 특정 소득
계층의 소득분포상태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