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조업생산능력/가동률지수

제조업생산능력/가동률지수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및 가동률지수는 제조업 부문의 생산능력과 이용 정도를 

나타내 는 지표이다. 생산능력지수는 공급능력의 수준과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나타낸 것이며, 가동률지수는 생산실적과 생산능력과의 비율인 설비이용도

를 지수로 만든 것이 다. 생산능력지수는 공급능력의 수준과 동향이 어떻게 변화

하는가를 나타낸 것이며, 가동률지수는 생산실적과 생산능력의 비율인 설비이용도

를 지수화한 것으로서 경기동 향 분석의 기초 자료로 이용된다. 두 지수는 공

급능력과 설비가동의 절대수준을 나타내 는 것이 아니라 기준년도의 생산능력

과 가동률을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시의 공급능력 과 가동상태가 어느 수준인

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생산능력이란 사업체가 정상적인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

할 경우 최대로 생산 가능한 수량을 말하며 가동률이란 생산능력 대비 생산

실적의 백분율을 말한다. 통계청은 매월 314개 품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를 산출하고 있다. 통상 생산은 자가소비, 출

하 및 재고변 동의 합으로 표현하는데 출하가 생산보다 경기에 대해 민감(선

행)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경기가 하강하는 경우 출하는 즉시 감소하나 기

업이 생산을 급격히 감소시키기 어려우므 로 재고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경

기가 회복되는 경우 출하가 증가하면서 재고가 감소하고 뒤따라 생산이 증가

하게 된다. 한편, 가동률은 경기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