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자가 속하는 금리 시장의 정의를 평균 대출금리
대출자가 속하는 금리 시장의 정의를 평균 대출금리가 아니라 대출자의 대출 금리 중
최고 이자율을 기준으로 저금리, 중금리, 고금리 대출자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는 결국 대출자
가 기존 대출에서 추가로 의미 있는 수준의 대출을 하고자 할 경우 감내해야 하는 금리대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한계 금리라고 표현하고자 한다. <표 10>은 이러한 한계 금리를 기준
으로 대출자를 정의했을 때 차주 수를 기준으로 2016년 6월말 대비 2017년 6월말에 신용대출
한계 이자율이 동학적으로 어떻게 이동하였는지를 보여준다. <표 10>에 의하면 2017년 6월말
현재 전체 신규 신용대출 중에서 저금리 대출만을 받고 있는 차주가 29.9%, 최고 금리 수준이
중금리대인 차주가 43.7%, 고금리 대출이 하나라도 있는 차주가 26.4%에 해당한다. 또한 한계
금리 기준에서의 중금리 대출자 중 73%는 일년전에도 한계 금리가 중금리 수준이었던 차주인
반면, 9%는 일년전에는 한계 금리가 저금리 수준으로 낮았다가 현재 중금리 수준으로 상승했
고, 18%는 한계 금리가 고금리 수준에서 현재 중금리 수준으로 하락한 차주이다. 한계 금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평균 금리 기준에 비하여 현재 중금리 대출자 중 최근 1년 사이에 금리
하락을 경험한 대출자의 비중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장의 이후 분석으로 중금리 시장의 확대 및 경쟁의 심화가 금융 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차주의 연체 유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를 종속변수 로 하는 로짓(Logit) 모
형을 추정하고자 한다. 차주의 연체를 설명하는 개인의 상환 능력과 관련된 여러 변수들을 통
제한 후에 추가적으로 중금리 시장의 확대 및 경쟁의 심화가 차주의 연체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차주가 대출을 연체하는 주된 이유는 차
주의 상환 능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차주의 연령, 소득, 대출금리,
신용대출 및 총대출 규모의 설명변수를 이용하여 차주의 연체 확률을 설명하는 Logit 모형을
기본모형으로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통제변수 에 더하여 대출금액을 고려한 업권간 다중채
무 지표인 HHI를 모형의 설명변수 로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금리 대출 시장의 확대 및
경쟁 심화가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중금리 대
출 시장의 확대 및 경쟁의 심화는 경제 전체의 전반적인 HHI의 하락을 의미하므로, 개별 대출
자의 HHI의 증가가 그 차주의 연체 확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중금리
대출 시장 확대 및 경쟁 심화가 금융 안정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더불어 HHI를 포함한 다른 변수들이 연체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한 이후에, 대출자가 평균적으로 중금리 대출을 공여 받거나, 또는 평균적으로는 더 낮은 금리
를 이용하더라도 현재 자신이 지불하는 최고 금리가 중금리대 대출인 경우 다른 대출자에 비
하여 이들의 연체 확률 및 HHI의 계수에 어떠한 영향을 추가적으로 미치는지를 분석하려 한
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중금리 대출 시장이 확대가 금융 안정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확
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각 모형은 이렇게 정의된 각각의 더미변수 만을 추정식에 포함
시키거나, 더미변수와 HHI의 교차항만을 포함시키거나, 이 둘을 동시에 포함시키는 세 경우에
대한 추정 결과를 보고하였다.